Linux

Centos 7 고정 IP 설정하기

하루게시물한개 2023. 8. 9. 13:31
반응형

 

 

1. 변동할 NIC 확인하기

가장 먼저 ifconfig 명령어를 통해서 내가 변동하려고 하는 NIC를 확인한다. 

 

 

2. NIC 접속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변동할 NIC) 를 통해서 NIC 내용을 수정 해 준다. 

 

TYPE=Ethernet
PROXY_METHOD=none
BROWSER_ONLY=no
BOOTPROTO=dhcp
DEFROUTE=yes
IPV4_FAILURE_FATAL=no
IPV6INIT=yes
IPV6_AUTOCONF=yes
IPV6_DEFROUTE=yes
IPV6_FAILURE_FATAL=no
IPV6_ADDR_GEN_MODE=stable-privacy
NAME=ens192
UUID=481f114a-5bb7-44a2-bbed-5b20ac342fc2
DEVICE=ens192
ONBOOT=no

 

내 NIC 이름은 ens192이며 현재 IP는 DHCP로 받아오게 되어 있다. BOOTPROTO가 DHCP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를 고정으로 바꿀 것이다. 

 

 

 

 

3. NIC 수정

고정으로 IP를 받아오기 위해서는 설정을 DHCP에서 Static으로 변경해야 하며 고정으로 넣어줄 IP, 넷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설정이 필요하다. 

 

IP를 192.168.0.5로 설정하려 하고, 게이트웨이가 192.168.0.1 이며 KT 회선을 쓰고, C클래스의 네트워크 사용중에 있다고 가정한다면 

 

 

TYPE=Ethernet
PROXY_METHOD=none
BROWSER_ONLY=no
BOOTPROTO=static
DEFROUTE=yes
IPV4_FAILURE_FATAL=no
IPV6INIT=yes
IPV6_AUTOCONF=yes
IPV6_DEFROUTE=yes
IPV6_FAILURE_FATAL=no
IPV6_ADDR_GEN_MODE=stable-privacy
NAME=ens192
UUID=481f114a-5bb7-44a2-bbed-5b20ac342fc2
DEVICE=ens192
ONBOOT=yes
IPADDR=192.168.0.5
GATEWAY=192.168.0.1
NETMASK=255.255.255.0
DNS1=168.126.63.1

 

위 부분을 추가해 주면 된다. BootProto를 수정해 DHCP에서 고정으로 바꿔주고 ONBOOT 설정을 YES로 바꿔 줘서 부팅 할떄마다 이 정보를 가져오게 수정한다.

 

IPADDR을 추가해 내가 추가하려는 고정 IP를 넣어주고 GATEWAY를 통해서 이 IP가 어디 GW를 찾아가야 할지를 지정해 준다. 그리고 C클래스이기 때문에 NETMASK 설정을 255.255.255.0으로 해준 후 DNS1에 KT 회선을 넣어준다.

 

 

 

 

 

3. 네트워크 재실행

Centos 7 의 경우 systemctl로 서비스를 실행한다.

 

즉 우리는 NIC에 대한 정보를 바꿨고 이제 네트워크를 재 실행 해야 한다.

 

systemctl restart network 명령어를 통해서 네트워크를 재 실행 해 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ifconfig 명령어를 입력한다면 IP가 고정으로 바뀐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반응형